흰색꽃 썸네일형 리스트형 쇠별꽃 쇠별꽃 석죽과 두해살이풀 계아장(鷄兒腸)·번루(繁縷)·콩버무리라고도 한다 원산지 원산지 한국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쇠별꽃 개화시기 5~6월 흰색꽃 쇠별꽃 꽃말 밀회, 추억 쇠별꽃 효능 및 쓰임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생초를 위장약으로 한다 더보기 부겐빌레아 paper flower, Bougainvillea 부겐빌레아(부겐베리아) 분꽃과 덩굴성 관목 원산지 남아메리카 부겐빌레아 개화시기 4~11월 부겐빌레아 꽃말 열정, 영원한사랑 더보기 난쟁이아욱 Dwarf Mallow 난쟁이아욱 아욱과 두해살이풀 북아메리카와 아시아까지 귀화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경상북도 장기곶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현재는 남부지방, 제주도와 울릉도에 분포한다. 원산지 유럽, 서아시아 난쟁이아욱 개화시기 6~9월 흰색꽃아욱 꽃말 어머니의사랑, 은혜 더보기 점나도나물 Halla-san mouse-ear chickweed 점나도나물 석죽과 두해살이풀 이채(耳菜)·권이(卷耳)·파파(婆婆)·지갑채(指甲菜)라고도 한다 원산지 한국 점나도나물 개화시기 5~7월 흰색꽃 점나도나물 꽃말 순진 점나도나물 효능 및 쓰임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가축의 먹이로도 쓰인다. 더보기 매화나무(매실나무0 Plum blossom 매화나무 장미과 낙엽소교목 원산지 중국 매화나무 개화시기 2~3월 매화나무 꽃말 고결, 충실, 인내, 맑은 마음 매실 효능 및 쓰임 5∼6월에 덜 익은 열매를 따서 약 40℃의 불에 쬐어 과육이 노란빛을 띤 갈색(60% 건조)이 되었을 때 햇빛에 말리면 검게 변한다. 이를 오매(烏梅)라 하며 한방에서는 수렴(收斂)·지사(止瀉)·진해·구충의 효능이 있어 설사·이질·해수·인후종통(咽喉腫痛)·요혈(尿血)·혈변(血便)·회충복통·구충증 등의 치료에 처방. 뿌리는 매근(梅根), 가지는 매지, 잎은 매엽, 씨는 매인(梅仁)이라 하여 역시 약용. 덜 익은 열매를 소주에 담가 매실주를 만들고 매실로 매실정과(梅實正果)·과자 등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관상용 또는 과수로 식재. 더보기 치자나무 梔子─ 치자나무 꼭두서니과 상록관목 원산지 중국 치자나무 개화시기 7월 흰색꽃 치자나무 꽃말 순결, 청결, 무한한 즐거움 치자나무 효능 및 쓰임 열매 안에는 노란색 과육과 종자가 있다. 열매를 치자라고 하며 한방에서는 불면증과 황달의 치료에 쓰고 소염 ·지혈 및 이뇨의 효과. 음식물의 착색제로 쓰고, 옛날에는 군량미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치자물에 담갔다가 쪄서 저장하였다고 함. 더보기 비파나무 Loquat 枇杷─ 비파나무 장미과 상록소교목 원산지 한국 비파나무 개화시기 10~11월 흰색꽃 비파나무 꽃말 현명, 온화 비파 칼로리 100g 47kcal 비파나무 효능 및 쓰임 열매는 식용 또는 통조림. 잎을 진해(鎭咳)·건위(健胃)·이뇨(利尿)에 사용. 종자는 행인(杏仁) 대용으로 사용. 과수 및 관상수로 재배. 더보기 차나무 tea-plant 차나무 차나무과 상록교목 원산지 티베트와 중국 쓰촨성의 경계의 산악 지대 차나무 개화시기 10~11월 흰색꽃 차나무 꽃말 추억 더보기 이전 1 2 3 4 5 ··· 11 다음